그린인테리어
계획세우기
그린인테리어의 가장 큰 효과는 ‘생동감’이다. 아무리 잘 꾸며진 곳일지라도 ‘그린’이 없는 실내
에서는 활기를 찾기 어렵다. 살아 있는 식물이 내뿜는 생명력을 실내의 각 코너에 불어넣음으로
써, 비로서 생동감을 되찾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그린 인테리어의 가장 큰 매력이라고 할
수 있다.
실내에서 그린을 연출하는 방법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달라진다. 몇개의 작은 화분을 창가에 장
식하는 정도로 만족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고, 실내에 볼품 있는 정원을 꾸며 자연의 운치를 누
리고 싶은 경우도 있을 것이다.
그린 인테리어에 식물을 어느 정도로 도입하고, 또 어떻게 꾸밀 것인가를 계획하는 것이 그린 인
테리어의 첫 과정이다. 실내의 크기와 조건, 이미 갖고 있는 식물의 종류와 예산 등을 고려하여
취향에 따라 계획을 세운다. 식물에 있어서는 우선, 실내의 원예조건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
하다.
식물선택은
식물은 실내 장식의 살아 있는 소재다. 생명력을 지니고 있는 만큼, 잘 자랄수 있는 장소를 찾
아 주는 것이 중요하다. 식물의 생육조건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채, 그린 인테리어의 장소를 분위
기 위주로 정했다가는 실패하기 십상이다. 아파트인 경우에는 베란다가 가장 적절한 장소지만,
비교적 햇빛이 잘 드는 거실이나 안방의 창 가까운 곳도 적합하다. 이 밖에 식당이나 현관, 복
도 등도 연출하기에 따라 장식 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다. 단, 너무 욕심을 내서 통행에 불편을
주거나 부적절한 식물을 선택하여 죽이는 일이 없도록 주의한다. 식물의 배치의 제일 조건인 ‘채
광’을 고려하여 장소를 확보한다면, 식물이 자라는 데 많은 도움이 되어 관리하기가 그만큼 쉽
고, 늘 아름다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만약 빛이 부족한 장소라면, 그늘에 강한 식물을 선택
하거나 인공조명을 사용하는 등, 합리적인 방법을 찾아본다.
단독주택의 실내조경은
좁더라도 마당이 있는 집이라면, 실내에는 꼭 필요한 장소에만 깔끔하게 식물을 연출하는 것이
좋다. 중간 키 정도의 식물을 많이 늘어 놓는 것보다 높이 1.5m~2m 정도의 키 큰 관엽 식물을 한
주 개 들여 놓고, 예쁜 소품 식물을 곁들이는 것이 효과적이다.
넓은 실내를 꾸밀때
야자류, 아로우카리아, 파키라, 떡갈잎 고무나무, 벤자민, 아로우카리아 등. 볼륨 있는 실내 식
물를 배치하고 그 주위에 의자나 작은 테이블, 조경 소품 등을 배치하면, 입체적인 인테리어 효
과를 얻을 수 있다.
키 큰 식물은 이동하기에 불편하므로, 바퀴가 달린 용기를 사용하여 물을 주거나 햇빛을 쬐일
때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좁은 실내를 꾸밀때
화분을 놓을 장소가 마땅치 않을 때는 선반이나 원예용 행거(hanger), 행잉 바스켓(hanging
basket)등을 이용하여 식물을 연출한다. 또한, 덩굴성 식물을 사용해 기둥이나 벽면을 따라 식물
이 자라도록 유인하는 방법도 있다.
신답서스, 싱고니움, 시서스, 아이비, 몬스테라 등의 덩굴성 식물을 잘 활용하면, 실내에서 울창
한 정원을 보는 듯한 효과를 얻으수 있다. 덩굴손이 없는 식물은 테이프로 고정시켜 자리를 잡아
준다.
부실별 식물연출법
현관
실외와 실내와의 연결 통로이며, 그집에 대한 첫인상을 주는 장소이다. 대부분이 그러하듯 현관
에는 햇빛이 잘 들어오지 않으므로 음지에서 강한 식물을 기르는 것이 좋다. 또한 드나들게에 거
추장스럽지 않도록 간결하면서도 산뜻하게 꾸미는 것이 중요하다. 신발장 위에 소품 식물을 장식
하거나, 행거, 벽걸이 등을 활용하면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수 있다.
응접실
온가족이 모여 대화를 나누며 휴식을 취하는 장소로서, 생활 공간중 사용횟수가 잦은 공용 장소
다. 뿐만 아니라 이곳은 방문객을 맞이하는 곳이기도 한 만큼, 그린 연출의 가장 적절한 장소가
될수 있다. 가구나 인테리어의 전반적인 분위기가 동양적인 경우에는 온대 식물인 후피향, 남
천, 대나무, 대만 고무나무, 벤자민 고무나무, 관음죽등이 잘어울린다. 서구적인 분위기의 인테
리어에는 개성이 강하고 독특한 식물이 잘 어울린다.
안방,어린이방
사용자의 연령과 취향을 고려하여 식물을 선택한다. 한식으로 꾸며진 노인방이라면, 동양란이나
석부작 등을 한두 점 깔끔하게 배치하는 것도 분위기를 살리는 데 효과적이다. 어린이방은 침실
이자 공부방이며 놀이공간이기 때문에 독성이 있는것이나 가시가 있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식물 식재시에 책상이나 창문가 쪽으로 정서에 좋은 식물을 심는 것이 좋다 식물은 손쉽게 키울
수 있는 구근류(양파를 비롯한 튤립 히아신스 고구마등)를 물심기하여 놓는다거나 테라리움 등
을 배치하는 것이 좋다.
주방
취사, 조리공간으로 독립된 공간을 식사를 하기 때문에 밝은 분위기가 좋으며, 따뜻한 장소이기
때문에 식물이 자라는 데 비교적 적합한 편이지만 다른 어떤 장소보다 청결하게 손질하도록 마
음 써야 한다. 키 큰 화분을 배치할 때는 화분 위에 작은 식물을 모아 심어 멋을 내고, 소품 식
물로 접시정원을 만들어 식탁 위를 장식해 본다.
욕실
다습하고 햇빛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협소한 공간이기 때문에 소품위주의 식물이 좋다. 많은 식
물을 두는 것 보다는 수경재배하는 식물이나 모아심기한 소품을 한두 점 장식하는 것이 좋다. 높
은 위치에 식물을 배치하려면, 덩굴성 식물이 적합하고 조란, 달개비, 시서스를 물심기하여 장식
하는 것도 간편해서 좋다. 비눗물이나 더운 물이 튀는 위치에는 식물을 두지 않도록 주의한다
창가
창가에 제철 꽃 식물을 놓아 계절감을 만끽하고, 집안 전체를 화사하게 꾸며 보자. 아이비, 제라
늄, 페튜니아, 한련 등은 창가를 화려하게 장식해 주는 화초들이다. 같은 종류 같은 크기의 화분
을 반복 배치해도 간결한 아름다움을 즐길 수 있다. 창문의 턱이 여유 있다면, 조그마한 유리 용
기나 나무 박스를 사용해 모아심기해도 좋다. 문턱이 없는 경우, 고중걸이 화분을 배치하여 장
식 효과를 높인다.
자료제공 : 그린하우스 (홈페이지 : http://net-in.co.kr/foxhai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