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산산 산에는 나무들이 자라고
도시공원에는 우리들도 있어요!
수원청개구리인데 수원에는 없어요.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수원청개구리 서식처가 사라졌기 때문이지요. 이렇게 집터를 잃어버리는 건… 수원청개구리가 마지막일까요?
서울시: 도롱뇽 (서울시 보호종), 솔부엉이 (천연기념물 제324-3호), 남산제비꽃, 소쩍새
경기도: 늦털매미,개리 (천연기념물 제325호),파파리반딧불이, 큰오색딱다구리, 맹꽁이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동물 II급)
강원도: 후투티, 붉은머리오목눈이, 새호리기(환경부 멸종위기 야생동물 II급), 노랑때까치
충청도: 수리부엉이 (천연기념물 제324호), 미호종개 (천연기념물 제454호), 황새 (천연기념물 제 199호,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금개구리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경상도: 맹꽁이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동물 II급), 흑두루미 (천연기념물 제228호,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솔부엉이 (천연기념물 제324-3호), 큰소쩍새 (천연기념물 제324호)
전라도: 담비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수달 (천연기념물 제330호,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맹꽁이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동물 II급)
제주도: 흰눈썹황금새
도시공원일몰제로 공원지정이 해제되면 개발이 진행되어 서식지 파괴가 예상되는데, 뭇생명이 도시에서 같이 살 수는 없는 걸까요?
함께 공존할 수 있는 도시를 위해 공원을 지켜주세요.
도시공원일몰제 캠페인 바로가기: saveourparks.net
세계자연보전연맹 (IUCN) 적색목록 | |
절멸 위기 (EN, Endangered) | 황새 |
취약 (VU, Vulnerable) | 개리, 금개구리, 흑두루미 |
준위협 (NT, Near Threatened) | 수달 |
관심 대상 (LC, Least Concern) | 노랑때까치, 담비, 도롱뇽, 맹꽁이, 새호리기, 소쩍새, 솔부엉이, 수리부엉이, 흰눈썹황금새 |

미디어소통국 은 숙 C
"당신은 또 어느 별에서 오신 분일까요/ 사열식의 우로 봐 시간 같은 낯선 고요 속에서 생각해요/ 당신은 그 별에서 어떤 소년이셨나요 // 기억 못 하겠지요 그대도 나도/ 함께한 이 낯설고 짧은 시간을/ 두고온 별들도 우리를 기억 못할 거예요/ 돌아갈 차표는 구할 수 있을까요/ 이 둔해진 몸으로/ 부연 하늘 너머 기다릴 어느 별의/ 시간이 나는 무서워요/ 당신도 그런가요" 「은하통신」 김사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