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존의 조건 >
인구학자들은 2050년이 되면 세계 인구는 현재의 두배 정도인 100억에 이
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지난 50년간 녹색 혁명과 농업의 기계화로 세계
식량 생산량은 늘어났지만 아직도 아프리카와 아시아 지역의 기아인구는 줄
어들지 않고 있다. 더구나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인한 사막화의 확대는
아프리카에서 수천만의 기아인구를 생산했다. 문제는 인구 증가와 그에 더
불어 발생하는 기아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낙관론자들
은 지구상의 경작가능한 토지는 아직도 많이 남아 있고 농업기술의 향상을
통해 식량부족 현상을 극복할 수 있으리라 전망한다.
그러나 환경론자들은 경작지 확대를 위한 산림파괴와 토양침식, 그리고
과다한 농약사용으로 인한 자연생태계의 오염을 염려한다. 이와 같이 식량
생산의 증가는 지구환경의 개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생태
계를 회복 불가능한 상태로 오염시키지 않고 필요한 식량을 생산할 수 있는
가가 과제로 남겨진다. 그러나 미래의 인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장 우선
적으로 전제되어야 할 것은 인구증가가 가져올 생태계에 대한 영향력을 줄
여가는 것이다. 그것을 위한 최선의 방법은 인구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