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목차
1. <국내 먹는 물 사건의 특성>
<국내 정수장 병원성 미생물 관리수준의 문제>
< 5조 규모의 수돗물 배급수 관망사업의 효율성 >
<고도정수처리시설 투자의 교훈>
<간이상수도 문제해결이 매우 시급한 사항>
<국내 수돗물의 트리할로메탄 생성>
<공개 환경 행정의 당위성>
2. 국내 먹는 물 공급체계의 구성
<중앙 정부 및 지자체>
<지방정부와 정수장>
< 상하수도협회의 설립방향 >
<수도 분야 산업정책의 부재>
<민간위원회의 활성화>
3. 맺음말
글 : 윤 제용 (서울대)
자세한 내용은 첨부화일을 참고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