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생태보전 관련자료

토양오염

◇토양 오염이란?

산업과 생산활동에 따라 각종 유해물질이 토양에 주입되어 각종 식물 특히 농산물이 유해한 물
질을 흡수함으로서 이것을 섭취하는 인간이나 동물에게 해를 끼치거나 토양의 물리. 화학적 성질
을 저해하는 현상.

◇토양오염의 특성

토양오염의 특성은 간접적이고, 만성적이며, 개선(또는 복원)의 어려움(시간적, 경제적)의 세가
지로 요약할 수 있다. 즉 토양이 오염되면 그 속에 깃들어 살고 있는 토양생물들과 지하수의
오염을 야기시키고 이는 인간에게 피해를 주어 간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또한 급성적인 피해보
다는 오랜 기간 누적되어 피해를 일으키는 만성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아울러 토양오염은 대부
분의 환경오염처럼 한 번 오염되면 그 개선이 어려우면서도 대기나 수질에 비해 훨씬 더 긴 시간
과 많은 경제적 투자를 필요로 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토양 오염의 경로, 원인

1]농약에 의한 오염 농약 : 농작물의 병충해 예방구제에 사용되는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 등
살균제 : 황산동, 유기수은제 등 살충제 : 유기염소계 화합물(DDT,BHC,앨드린,엔드린 등), 유기
인계 농약(파라티온 등) 제초제 : 2.4-D 등
2]생활하수에 의한 오염 세균, 바이러스 등 각종 병원균이 식물성장에 피해
3] 산업폐수에 의한 오염
4] 비료에 의한 오염
5] 기타 : 방사성물질에 의한 오염. 산성우에 의한 오염 -> 황산화물은 토양의 산성와 초래 단
순 투기형의 비위생적 매림

◇토양 오염의 해결 방안

1] 농약의 과다사용을 피한다.

2] 산성비료의 사용을 줄이고 중성비료로 바꾸며 화학비료보다 퇴비등 유기질 비료의 사용을 권

3] 가정하수 산업폐수를 함부로 토양에 버리지 않는다.

4] 폐기물 또는 독성물질을 무분별하게 토양에 버리지 않음 매립지의 방식을 위생매립으로 하
여 관리를 철저히 한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것들

가장 중요한 방지대책은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는 것이지요. 국가에서도 쓰레기 처리를 위한 환
경목표를 감량화, 자원화에 두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하루에 발생되는 생활쓰레기가
약 48,000톤이므로 이들을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입니다. 그리고 자원의 재활용을 위해 분
리수거하는 것이지요. 예를 들면 유리병, 종이, 캔 등을 분리하여 자원으로 재활용 하는 것입니
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 재활용 비율이 약 25% 정도입니다만 우리가 좀더 노력하면 40% 이상을
재활용 할 수 있지요. 참고로 플라스틱 제품에는 재활용 번호가 있습니다. 이중에서 1번(PETE
병, 음료수, 간장병, 생수 병 등), 2번 (HDPE, 물통, 샴푸, 세제용 병), 4번 (LDPE, 우유병, 막
걸리 병 농업용 비닐 등), 5번 (PP, 맥주, 콜라 등의 상자), 6번 (PS, 계란 봉지, 스티로폼 등)
은 재활용이 가능하고 3번 (공업용 플라스틱, 전화기 등)과 7번 (기타, 대 용량 물통) 등은 재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자료:www.earth.or.kr

admin

admin

(x)생태보전 관련자료의 최신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