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목차
【환경정책 분야】
– 중국편 –
◇ 중국의 5개년 환경산업 발전전략 내용 평가
◇ 환경보호에 7천억위안 투입
◇ 녹색소비 혁명 도래
◇ 중국 광동, 특혜정책으로 환경보호산업 지원
◇ 중국, 환경보호산업 빠른 성장
◇ 환경당국 ‘공해와 전쟁’ 선포
◇ 중국, 환경보호를 위한 대규모 계획 발효
– 일본편 –
◇ 일본의 환경부문 규제개혁안 내용
◇ 日 환경성의 2002년도 중점 추진시책 내용
◇ OECD의 일본 환경분야 평가 내용
◇ 일본 중앙 환경위원회, 정부는 3년간 교토의정서 관련 대처 자율에 맡겨야
◇ 일본, 전면적 세제 재검토(환경세제 포함)
◇ OECD : 일본 환경정책 심사 보고서
– 기타편 –
◇ 선진국의 Eco 펀드 동향과 한국의 사례
◇ EU, 지구환경 감찰시스템 구축
◇ 주요국간 접경지역 관리 협력 사례 검토
◇ UN의 세계인구보고서중 환경부문 영향평가 내용
◇ 환경세제개혁 – 시장(market)기반의 해결책
◇ 제3기 GEF 재원보충 제4차 회의 개최결과
◇ GEF 제18차 이사회 개최결과
◇ 영국 PIU, [미래 에너지 전망] 보고서
◇ 부시 행정부, 연료효율 시스템 마련에 고심
◇ 프랑스 대기업, 환경부담금(Eco Taxe) 등 정부와 기후변화 토론회 가져
◇ OECD의 노르웨이 환경정책 평가 내용
◇ 환경세제 관련 현안과 전략
◇ EIB의 환경사업기금을 지원받는 헝가리
◇ 영국, 기후변화세 포함으로 산업용 가스 20% 인상
◇ 스페인, EU 신임의장국 되어.. 환경분야 활동 기대
◇ 미, 휘발유 의존도 감축 위해 연료전지 개발
◇ EU의 재생가능에너지 활용 실태 보고서 내용
◇ 캐나다, 배출권 거래제 시행하면 향후 10년간 200억 달러 절감
◇ 러시아의 환경보호정책 강화 동향
◇ 스웨덴, 근로자 제공 회사차량에 대체연료 사용하면 세금공제
◇ 오염자 책임원칙, 국가에도 적용돼야
【지속가능발전 분야】
◇ WSSD준비 아·태지역 고위급 회의결과
◇ 2002 WSSD(지속가능발전 세계정상회의) Business Award 안내
◇ WSSD, 적도 이니셔티브 착수
◇ WSSD 제2차 준비회의(PrepComII)참가결과
◇ 지속 가능한 화학
【기후변화 분야】
– 일본편 –
◇ 日, 이산화탄소 배출규제 강화 경제산업성, 에너지법 운용 업종별 점검 개선계획
◇ 부문별 온실효과가스 대책 마련
◇ 지구온난화방지 국내대책에 대한 규제 2005년 이후로
◇ 일본 환경성 보고서- 온난화방지기술(1)
◇ 일본 환경성 보고서- 온난화방지기술(2)
◇ 일본 환경성 보고서- 온난화방지기술(3)
◇ 일본 환경성 보고서- 온난화방지기술(4)
◇ 일본 경제부장관 자문기구, 교토의정서 이행 위한 방안 제언
◇ 일본 기업, 온실가스 배출량 규제관련 정부에 로비
◇ 일본, 기업에 온실가스 자율규제 고려하고 있어
◇ 일본, 온실가스 저감 위해 선박의 수송분담률 늘이기로
◇ 일본, 교토의정서 협상에 미국 참여해야
◇ 일본, 배출권 거래제도 무기한 연기
◇ 일본, 교토의정서 목표달성키 위해 중국에 투자
◇ 일본 환경성-온난화대책 진행상황
◇ 일본은 미국의 입장에 관계없이 교토의정서 비준해야(50%)
◇ 일본, 교토의정서 달성 위해 3단계 새 정책안 입안
◇ 일본 환경성- 온난화대책의 진행상황 종합
◇ 일본 환경성, 가스 배출량 산정
– 미국편 –
◇ 미국의 온실가스배출29% 전력부문
◇ 미국의 2000년도 온실가스 배출 실태 평가 보고서 내용
◇ 온실가스, 바다에 저장해
◇ 美 國立硏究所의 地球氣候變化 실태 보고서 내용
◇ 미국,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대안적 계획 발표 임박
◇ 미 행정부, 기후변화정책 최종 조율중
◇ 캘리포니아, 자동차의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
◇ 미국, 배출 저감 목표 없어..(미 기후변화정책에 대한 Guarian지 사설)
◇ 미국의 온실가스 저감 대체방안
◇ 기후변화의 새로운 증거, 열대지방 구름의 감소
◇ 美, 미 GDP 대비 온실가스저감방식으로 2012년까지 18% 감축
◇ [온실가스 자율규제안] ‘美, 오염배출기업에 선물 준 꼴’
◇ 미국의 온실가스 저감 대체방안: 부시 메릴랜드 연설전문
◇ 미국의 기후변화 정책발표에 대한 최성홍 외교통상부장관 성명
◇ 부시의 지구온난화 안에 대한 엇갈린 반응
– 기타편 –
◇ 독일의 연료전지 개발 활성화 동향
◇ 제7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회의 개최결과
◇ 러시아의 에너지절약 사업 활성화 동향
◇ 캐나다의 온실가스 감축대책 내용
◇ 주요국의 교토의정서 이행조치 강구 동향
◇ 과도한 온실효과가스, 감축목표는 국가경제에 악영향
◇ 탄소기금의 첫 프로젝트 내년에 개시
◇ 최근 국제사회의 환경현안 해결 노력 강화 실태
◇ EU, 일본, 한국 자동차 업계 순조롭게 CO2 감축
◇ 은행 및 금융기관의 새로운 비즈니스, ‘국제 온실가스 배출량거래’
◇ 지구온난화로 남극의 얼음층 붕괴될 확률 낮아
◇ 음식물 수입과 지구온난화
◇ Statoil 사, 세계은행에 배출 크레디트 받기로
◇ 지구온난화가 야기할 해빙문제
◇ 시작된 CO₂ 비즈니스(상)
◇ 시작된 CO₂ 비즈니스(중)
◇ 시작된 CO₂ 비즈니스(하)
◇ 지구온난화문제 재차 논의
◇ International Ememission Trading의 발생시기 및 거래 전망
◇ 중국, 교토협약은 부국과 빈국에 모두 이익될 터
◇ 네덜란드, 세계은행과 첫 CDM 계약 체결
◇ 세계 각국의 기후변화대책 단신
◇ 남극호수, 다른 곳보다 기후변화에 빠르게 반응
◇ 영국, 전직 석유회사 CEO가 배출권거래 지지 밝혀
◇ 마야 왕국의 붕괴는 기후변화 때문
◇ 온실효과에 기인한 호우의 위험성
◇ 지구상의 이산화탄소 발생지역과 감소지역
◇ 호주, 미국 기후변화 정책 지지
【환경과 무역 분야】
◇ 뉴라운드 뉴이슈 풀이 – ⑦
◇ 뉴라운드 뉴이슈 풀이 – ⑧
◇ 뉴라운드 뉴이슈 풀이 – ⑨
◇ 뉴라운드 뉴이슈 풀이 – ⑩
◇ 뉴라운드 뉴이슈 풀이 – ⑪
◇ 뉴라운드 뉴이슈 풀이 – 끝
◇ WTO 4차 각료회의 ‘오늘’ 개막
◇ 中 환경플랜트 시장을 잡아라
◇ 제4차 WTO 각료회의 결과 및 정부의 대응 방향
◇ 제4차 WTO 각료회의 개최결과
◇ 뉴라운드 전망과 대책(上)
◇ 뉴라운드 전망과 대책(下)
◇ 美 朝野의 WTO 뉴라운드 出帆 관련 반응
◇ 뉴라운드 협상 본격화
◇ 유전자변형식품 수입규정 개정
◇ WTO의 2002년도 활동계획 수립 동향
◇ WTO 뉴라운드 협상기구 설치 논의 동향 평가
◇ WTO 무역협상委 회의 재개
◇ WTO 제1차 무역협상위원회 회의 타결
【대기보전 분야】
◇ 환경보호車 소비세 30% 감면
◇ 아시아의 대기 오염이 북미지역으로 이동
◇ 부시 행정부 새 법안보다 현행 ‘청정대기법’ 이 더 효율적
◇ 캐나다, 디젤 유황 허용치 15PPM으로 낮춰
◇ 프랑스 가정 실내공기 오염실태 조사
◇ 미국 민주당 및 환경론자, 대기청정법 완화 적용에 반대
◇ 라돈의 위험성과 실내 라돈 조사
◇ 이탈리아 주요 도시 대기오염 증가…자동차 운행 금지
◇ 대기 오염 방지를 위한 이탈리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와의 협약
◇ 일본 환경성과 국토성, 배기가스 나노입자 측정기술 개발 착수
◇ 日, 대기오염 대책으로 차세대 연료 개발사업 추진
【수질보전 분야】
◇ 중국의 南北大水路 사업 내용 검토
◇ 중국서 ‘WT-FG 바이오 기술’로 강물 오염 제거 성공
◇ 레이저 이용한 수질오염 조사
◇ 고효율 불소 제거 및 회수 시스템 실용화
◇ 프랑스 환경장관, 물에 관한 법안 상정
【폐기물 분야】
◇ EU의 폐전기 전자기기(WEEE) 지침의 개요
◇ 선진국에서의 순환형 사회 구축방향
◇ 日, 폐기물 현지서 재생자원화
◇ “폐기물 물류 체계화 시급”
◇ 알미늄 용해로에서 알미늄 분리기술 개발
◇ “쓰레기 더미에서 황금을”
◇ 도꾸야마 반도체용 현상액 리싸이클 사업 착수
◇ 伊, 완전 재생 플라스틱병 개발
◇ 중국서 플라즈마 의료 쓰레기 소각로 개발
◇ 재생 PET 성형성 향상 개질제 개발
◇ ‘E-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 우려
◇ 무르만스크의 방사성폐기물 처리공장
◇ 獨, CD 재활용 기술 개발
◇ 캘리포니아주의 방사성폐기물 처분 문제
◇ 중국의 자원 재활용산업 발전추세
◇ 식물유로 폴리스티렌 폐기물 처리-재활용
◇ 폐플라스틱유, 석유제품으로 재생
【자연생태계 보전 분야】
◇ 美 아르헨 “GMOs 禁輸는 불법”
◇ 식물 바이오기술 개발에 전력하는 중국
◇ 유전자변형 작물 반대운동가에 대한 재판
◇ 주요국의 유전자변형생산물 관련 대응 동향
◇ 산림이 주는 환경과 경제적인 이점
◇ 국제 GMO연구기관의 세계 유전자변형작물 조사 보고서 내용
◇ 은연어 보호를 위한 벌목금지명령
◇ 생명체의 멸종과 분화에 대한 분석
◇ 중국, 유전자공학으로 유채씨 기름 함량 개선
◇ 일본의 바이오(Bio) 산업 육성 실태
◇ 비난받고 있는 일본 과학자들의 고래사냥
◇ 대표적 오염물질인 ‘PCBs’ 분해 세균 동정
◇ 보라보라 군도의 산호들 ‘적신호’
◇ 유통되는 식품 1/3에서 ‘유전자 조작 흔적’ 발견
◇ 유전자 변형 농작물이 선호되는 이유
◇ 韓 美 GMO 전문가 회의 개최키로
◇ 이탈리아, GM 종자 오염 허용 불가
◇ 사탕수수의 유전자 침묵현상 깨기
【토양보전 분야】
◇ 독성물질 제거 회전기 개발
◇ 식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 토양 정화 기법
◇ 단시간, 저비용 기름오염 토양 정화 기술 개발
◇ 미생물로 기름오염토양 정화기술 확립
【오존층 보호 분야】
◇ 세계 여러나라의 ODS 전폐 실천 몽고 2010년 전에 CFC 전폐
◇ 새로운 화학물질 오존 파괴 위험
◇ 캐나다 ODS 폐기 프로그램
◇ 몬트리올의정서 가입국회의 개최 결과
◇ 오존은 지구의 건강 지수?
◇ 오존층 파괴하지 않는 경질우레탄 폼 발포제 기업화
◇ 오존 오염의 영향, 나이에 따라 다르다
◇ 유럽 성층권의 오존층 감소
【화학물질 분야】
◇ 국제사회내 人體有害物質 규제 강화 동향
◇ 수은에 의한 눈 (snow)의 오염
◇ 워싱턴 DC 지하철에 유독물질 감지기 설치
◇ 사이클로덱스트린 이용한 정화작용 실험
◇ 日, 건자재 화학물질 방출기준 강화
◇ UNEP 이사회 개막
◇ 일본 환경성,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16종 물질 선정
【환경기술 분야】
◇ 티타늄 촉매 화섬사 개발
◇ 오키덴키 공업, 인쇄용지 500번 이상 사용하는 재생 프린터 개발
◇ 미,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폴리머 제조 공정에서 독성용매 대체
◇ 대체에너지에 대한 유엔환경프로그램
◇ 화석 연료의 새로운 정화기술 개발
◇ 석탄 화력 폐기물을 여과재로 사용한 수질정화 장치
◇ 오수 이용해 접착제 생산
◇ 전자빔으로 쓰레기 소각 연기 속의 다이옥신 90% 이상 분해
【기타 분야】
◇ 가리비를 이용한 남극의 기후 연구
◇ 2001년의 자연재해
◇ 중국 금년 초 엘니뇨 현상 경고
◇ 중국 토지 황폐화 악화
◇ 2050년이면 지구상에서 사라질 사해
◇ 핀란드, 환경지속성 지수 세계 1위
◇ 늪지가 지구 기후에 미치는 영향
◇ 中國, 무공해제품 소비 급증세
자료제공: 환경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