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정책 분야】(chap1.hwp)
◇ 영국, 환경기술 개발에 유리하도록 세제 고쳐 / 3
◇ 캘리포니아 에너지문제에 기여하는 “Cool Roof” / 4
◇ 세계은행, 중국에 환경정책 강화 요구 / 5
◇ 일본의 2002년도 환경정책 방향 / 6
◇ 美 헤리티지 財團의 NAFTA 영향평가 내용 / 10
◇ 환경친화 차량에 소비세 감면 / 13
◇ 러, 환경서비스 대가로 부채 탕감 희망 / 14
◇ 공동물류로 환경부담 경감 / 15
◇ 경영과 환경은 하나 포장재 적게 더 적게 / 16
◇ 세계은행의 중국 환경 관련 보고서 내용 / 17
◇ 지속가능발전 세계환경정상회의(WSSD) 준비 아태지역 포럼 결과 / 21
◇ 세계환경정상회의(WSSD) 소개 / 26
◇ ‘쿨커뮤니티’ 프로젝트, 가정 오염배출량 저감 / 29
◇ 최근 러시아의 環境政策 추진동향 / 29
◇ 독일 행정기관에 환경 매니지먼트에 관한 핸드북 배포 / 32
◇ EU 환경이사회, 재생에너지원(RSE)에 관한 지침 채택 / 33
◇ 2008 북경 올림픽은 태양 및 지열에너지의 제전 / 34
◇ 국제환경관리체제(IEG)를 위한 제3차 정부간 그룹회의 / 36
【환경과 무역 분야】(chap2.hwp)
◇ EU정상회의, 뉴라운드 출범에 적극 노력하기로 / 49
◇ 뉴라운드 출범 관련 16개국 비공식회의 개최 / 50
◇ WTO 閣僚會議 및 新다자협상 준비동향 / 51
◇ 뉴라운드 체결로 이어질까 / 54
◇ 최근 美 EU간 貿易紛爭 동향 / 56
◇ 전세계 환경규제 이슈로 부상 / 59
◇ 중국 重慶, 환경보호 제품 판매 인기 / 61
◇ 제3차 APEC 高位官吏會議 개최결과 / 62
◇ WTO 新다자협상 출범준비 小각료회의 결과 / 66
◇ 뉴라운드협상 또다시 ‘먹구름’ / 69
【대기보전 분야】 (chap3.hwp)
◇ 부시 정부의 ‘공기정화법’ 검토 방침에 환경단체들 우려 / 73
◇ 칼텍스 필리핀社, 청정대기법 준수비용은 너무 가혹해 / 74
◇ 청정대기와 디젤엔진에 대한 규제를 완화시키려는 GM社 / 74
◇ 프랑스 정부, 대기오염에 대한 법률 조항 수정 노력 / 75
◇ 시장기반의 대기오염 해결책 / 77
◇ 경유자동차가 시민건강에 유해한 대기오염물질 78% 배출(샌프란시스코) / 77
◇ 베이징, 자동차 배기가스 기준 강화 / 78
◇ 대기오염으로 멍드는 아시아 주요도시 / 78
◇ 中, 배기오염 적은 차량 소비세 감면 / 79
◇ 디젤엔진 차량 수입규제 강화 / 80
◇ 對印尼 배기가스 측정기 수출 유망 / 81
◇ 대형 디젤車 배기표준 의무화 / 82
◇ 중, 아황산가스 공해로 10년 간 2천400억 달러 손실 / 83
◇ 대기중 오존의 역할 / 84
◇ 영국, 대기오염 저감 위해 새로운 목표 설정 / 85
◇ 그랜드 캐년 오염 감소시킨 버스회사 / 86
◇ ‘악취 감시단’이 늘어난다 / 87
◇ 운송수단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결과 / 89
◇ 프랑스 리옹의 자동차 없는 날 / 90
【수질보전 분야】(chap4.hwp)
◇ EUREKA, 홍수예방 소프트웨어 개발 착수 / 95
◇ 새로운 갈등 요인으로 등장할 물 부족 현상 / 96
◇ 재활용률을 높여라-유럽 / 96
◇ MTBE 오염, 미 전역에 확산 / 99
◇ 中東諸國의 수자원 개발 추진 실태 / 100
◇ 일본 쯔구바대학, 오염물질 헤도르를 이용해 아오코 분해 / 104
◇ 프랑스 센느 강 회복되고 있다 / 105
◇ 美 서부 댐건설 명암 / 106
◇ 지역별 특성 살린다-미국 / 108
◇ 순환수 설비 사용한 세차 / 111
【폐기물 분야】(chap5.hwp)
◇ 싱가포르 폐기물 처분 방식을 배우는 말레이시아 / 115
◇ 샤프 세탁기 폐플라스틱 완전재생 / 115
◇ 독일, 세금 혜택으로 자동차 산업에 리사이클 비용부담 덜어 줘 / 116
◇ 독일, 중고차량 회수법 제정 추진 / 117
◇ 폐기물 관리정책에 대한 보고서 / 118
◇ 가전제품용 플라스틱 1/3로 삭감 / 119
◇ 에너지 재생형 폐기물 처리 시스템 ‘BIMA 시스템’ / 121
◇ 폐기 음료수박스의 재활용 / 122
◇ 폐제품 처리 입법화 팔 걷어 / 124
◇ 日, 자동차 리사이클법 시행 / 125
◇ 생활쓰레기 소각로 개발 / 126
【자연생태계 보전 분야】(chap6.hwp)
◇ WIPO, 유전자원 지적재산에 대한 계약조항 개발하기로 합의 / 129
◇ OECD 생명공학 방콕회의, GMOs에 대한 투명성 요청 / 130
◇ G8, 생명공학을 통한 식량안보 문제 해결가능성 제시 / 131
◇ 캐나다 바이오안전성의정서 서명 / 132
◇ 중국, 유전자변형체 규제법 제정 / 134
◇ EU, GMOs에 대한 엄격한 라벨부착 및 추적가능성 방법 제안 / 134
◇ 미 환경보호청, Starlink 옥수수의 위해성 인정 / 136
◇ 유전자변형 미생물규제 관련 법정 유럽 7개국에 세워져 / 137
◇ 뉴질랜드, 유전자조작 작물 경작 허용 방침 / 138
◇ 태국 돼지분뇨 바이오 가스 생산 확산 / 139
◇ 과학적인 산림복원 / 140
◇ 습지 복원, 물 공급만으론 부족하다 / 142
◇ 中, 황사 방지 대규모 조림사업 계획 / 143
◇ 유엔, 환경과 종을 보호하기 위해서 산림 보호를 역설 / 144
◇ 환경친화적인 새로운 GM 토마토 / 145
◇ 해양오염과 EU의 차기 해양연구 방향 / 146
◇ EU의 유전자변형생물체 등 생명공학 정책 동향 / 147
◇ UNEP의 世界森林保護 실태조사 보고서 내용 / 149
◇ 프랑스 GM비평가들, 정부에 GM농작물 금지 촉구 / 152
◇ Starlink로 미국산 옥수수의 일본 수출 타격 / 153
【기후변화 분야】(chap7.hwp)
◇ 온난화가스 배출규제 법안 마련 / 157
◇ 원자력기술 사용 암시하는 교토의정서상의 구멍 / 158
◇ 세계 배출권 거래시장 규모 / 159
◇ 제7차 기후회담에서 교토 대안을 준비하는 미 행정부 / 160
◇ 온난화대책세(稅) 관련 보고서 발표 / 161
◇ 영국 2002년 온실가스배출권거래제 실시, 참여기업에 인센티브 / 162
◇ 고온수 광역 네트워크에 의한 도심의 에너지 절약 CO2 배출 삭감 / 164
◇ 중소기업 대상 에너지소비효율 증진프로그램 추진(샌프란시스코) / 166
◇ 기후변화 최악의 희생자가 될 수도 있는 방글라데시 / 167
◇ 삼림업계, 교토의정서 우려하고 있어 / 167
◇ 중국의 온실가스 감소 통계에 대해 의구심 높아져 / 168
◇ 중, 대체 재생에너지 개발 시동 / 169
◇ 기후변화모델 개발에 2천만 달러 투자 / 170
◇ 미국의 교토의정서 탈퇴방침에 유럽국민 80% 이상이 “불만” / 171
◇ 산림녹화, 지구온난화 방지효과 미미 / 171
◇ 전문가 녹화 계획 시스템 / 173
◇ 아시아諸國의 自然에너지 개발 활성화 동향 / 174
◇ 일본, 지구온난화 방지 사업에 59억엔 투자예정 / 178
◇ 논평 – 교토타협 / 178
◇ 기후예측 프로그램 개발 / 179
◇ 이산화탄소 배출권 돈으로 사고 파는 시대가 온다 / 181
◇ 일본의 에너지서비스사업 추진 활성화 동향 / 185
◇ 일본, 문부과학성 온난화 예측 모델화 / 188
◇ 사막에서 지구온난화 감시 / 189
◇ 환경단체 지구온난화 피해 집단소송 검토 / 190
◇ 유럽諸國의 海上 風力發電 확충 실태 / 191
◇ 클리턴, 기후변화의 심각성에 대해 경고 / 194
◇ 日환경, ‘美에 교토의정서 대안 요구’ / 195
◇ 기후회담, 협력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추다 / 196
◇ 유럽연합 재생에너지 부서 창설 / 197
◇ 유럽의회, 미국에 입장제고와 2003년 9차 당사국총회에 참여토록 압력 / 198
【오존층 보호 분야】(chap8.hwp)
◇ 오존층의 상태 / 201
◇ 다자기금 설치 10주년 및 지속적인 협력 / 203
◇ 미국 환경부, 가정용 에어컨 및 열펌프 구입시 유의사항에 대한 자료 배포 / 204
◇ 중국, ODS 수출입관련 새로운 규정 제정 공표 / 208
◇ 중국의 메틸브로마이드 정책과 전략 / 211
◇ 몬트리올의정서 제21차 당사국 실무회의 개최결과 / 213
◇ 혼합 냉동제 시장 / 214
◇ 일본의 국가 염화불화탄소 관리전략 내용 평가 / 215
◇ 일본으로 밀수되는 CFC / 219
◇ 신 화학물질들, 오존층 파괴할 수 있어 / 220
【화학물질 분야】(chap9.hwp)
◇ EU, 화학물질 규제 강화 / 225
◇ 일본, 환경호르몬에 대한 연구계획 / 227
◇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OPs)의 관리를 위한 [스톡홀름협약]의 주요내용과 향후 조치 계획 /
228
◇ 스톡홀름 컨벤션 관련 국제동향 및 국내처리계획 / 232
◇ 독일 화학전문정보센터 CAS와 통합 검색서비스 / 235
◇ 일본 2000년 PRTR 파일럿 사업 결과 발표 / 236
◇ 일본 환경성 PRTR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시민용 안내서 작성 / 237
【토양보전 분야】(chap10.hwp)
◇ 혁신적인 오염 토지 정화방법 / 241
【환경기술 분야】(chap11.hwp)
◇ 생물자원 연료로 재활용하는 기술 / 247
◇ 에너지 절감형 혁신적 ‘그린지붕 기술’ / 248
◇ 중국, 쓰레기를 식물섬유의 원료로 전환 / 250
◇ 오염물질 방출을 줄이는 새로운 디젤엔진 기술 / 251
◇ 중국서 “인공습지” 건설 / 252
◇ Science et Avenir가 선정한 이 달의 환경분야 신기술 / 253
출처 : 환경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