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국제연대 관련자료

지역주민 참여를 통한 두만강유역 두루미 월동현황조사 세부추진계획

첨부파일 열기첨부파일 닫기

99_참가자용 – 세부추진계획서-두만강-환경단체용.hwp

지역주민 참여를 통한 두만강유역 두루미 월동현황조사

작성 : 김춘이 환경운동연합 활동처 국제연대팀장
작성일 : 2001년 10월 14일

출발전 사전회의 : 10월 20일 오후 3시 -5시 환경연합 앞마당
각종 물품 점검 및 현지지역 설명

현지상황에 비추어보아 하루 더 빨리 귀국할 수 있음.

1. 프로그램 : UNDP 소액지원프로그램(SGP: Small Grants Program)

2. 제 목 : 지역주민 참여를 통한 두만강유역 두루미 월동 현황조사

3. 사업주관 : 환경운동연합

4. 협력기관 : 연변대학, 국제두루미재단(International Crane Foundation),
Global GreenGrants Fund, 골드만환경재단.
Glen Harrison 연구원(미국 오크리지연구소 책임연구원). 습지보전연대회의.

5. 프로그램기간: 2001. – 2002. (1년간)

6. 일 정 : 총 9박 10일 10:00 인천공항 7번문에서 만나기로 함.
환경연합에서는 아침 8시에 모여 짐을 들고 이동
10월 21일 서울 / 장춘 CJ688 12:20 13:10
10월 21일 장춘 / 연길 CJ6641 15:10 15:50
10월 29일 연길 / 장춘 CJ6678 14:20 15:00
10월 30일 장춘 / 서울 CJ687 08:10 10:50

10월 13-15 연변대학 이광교수팀 지역사전답사 및 30여명의 주민선정
10월 21일 연변도착
인천-장춘 (12:20-13:10) 장춘-연길(15:10-13:50)
10월 22일 환경연합-연변대학 회의 / 22일 오후 연변에서 훈춘으로 이동
10월 23일 훈춘지역주민 교육 / 23일 오후 훈춘에서 경신지역으로 이동
10월 24일 경신지역주민 교육
10월 25일 경신/훈춘지역 주민에 의한 두루미 조사
10월 26-28일 경신지역 습지 조사 및 철새 탐조(환경연합-연변대학)
10월 29일 중국소년보사 방문 후 장춘행 비행기(14:20분 비행기)
10월 30일 귀국 (오전 8시 10분)

7. 프로그램 참가자 총 12명
환경연합 : 최진하 충남의제 21 사무관, 박종학 시민환경센터 자원활동가, 김춘이환경연합 국제
연대팀장, 이혜경 인천환경연합 사무국장, 김경원 습지보전연대 국장, 장지영 환경연합 갯벌보전
팀장, 복진오 그린아이 영상 제작팀장 7명
연변대학 : 이광교수, 전병무(기자재담당), 기사 1인, 학생 1인, 주위홍
서울대 지리학과 박사과정 주위홍 5명

8. 사업목적
두만강 인접지역 주민들의 참여를 통하여 두만강 생태계 보전의 필요성 인식
지역주민들에게 실질적인 경제적 이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지속적인 환경인식
의 효과

9. 사업배경
UNDP가 두만강 개발 사업을 진행함에 있어 환경적인 영향이 중요하게 고려되 어야 함이 인
식됨. 이런 의도로써 지역주민의 참여를 통한 소액기금프로그램이 진행됨.
지역주민들에게 전통적으로 친숙한 두루미를 선정하여, 주민들이 두루미를 통한 두만강 유
역의 생태적 가치를 인식하는 계기가 되도록 함.
두루미라는 종을 택함으로써 한반도 평화적 이미지 구축

10. 환경연합 사업이 진행측면에서 갖는 의의
UNDP 소액기금사업의 경우, 지역주민에게 경제적인 이익을 주고 동시에 환경 인식을 높일 수
있는 내용으로 진행해 달라는 당초 UNDP 요구사항이 전제된 가운데서 진행되고 있으며 현
재 한국에서는 총 8개단체가 UNDP로부터 5,000 USD를 수령하여 진행중.
환경연합 프로젝트의 경우, 실질적으로 지역주민에게 환경노동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면서 환경
인식을 증진시키는 사업으로서 행사위주보다는 실질적인 훈춘/경신 지역의 30여명이 직접 참여하
는 사업으로서 현지지역주민들과 직접 접촉하는 사업으로서 의미가 있음.
관련당사자의 다양화; 이 사업에 유엔, 한국, 중국내의 다양한 참여는 물론 다양한 국제기관들
을 참여시킴으로서 인식증진의 효과를 가져옴.

– 한국내 : 서천, 인천, 순천 등에서 습지보전을 하는 활동가들이 다양하게 참여하고 있으며
– 중국 : 환경연합 활동처 국제연대 자원활동가 글렌해리슨 교수를 통하여 서울대학 이기석교
수, 난잉교수, 주위홍학생(박사과정)을 소개받고 현재 중국측의 협력파트너인 연변대학 지리학
과 이강교수로까지 저변이 확대됨.
– 국제기관 : 국제두루미재단, 골드만환경재단, Global GreenGrants Fund 등의 세 기관을 사업
에 참여시킴으로서 국제적으로도 인식증진의 효과를 가져옴. 골드만재단의 경우, 환경연합이
Global GreenGrants Fun으로부터 재정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유용한 매개체가 되었으며 Global
GreenGrants Fund의 경우, 소액기금을 지원하였고, 국제두루미재단의 경우는 국제두루미재단이
만든 교육용 포스터와 어린이용 교육도구를 후원함으로써 두루미에 어린이용 교육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
습지보전운동을 하는 중앙/지역의 활동가들이 함께 두만강습지현장을 견학함으로써 두만강습지
와 한국습지를 비교하고 또한 향후 동아시아 습지보전전략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음.
환경운동연합의 중점사업인 아시아현장강화운동의 하나로 진행될 수 있음.
11. 프로그램 진행
10월 23/24 양일간 교육자료를 토대로 두루미의 생태와 두루미의 조사방법에 대 해 교육.
그 후 지역주민들은 1주일에 한번씩 5주간 두루미조사 후 체크
10월 25일/11월 7일/11월 14일/11월 21일 두루미 조사 총 5일
제2차시의 경우(진행되는 경우),
2002년 2월 27일/3월 6일/3월 13일/3월 13일/3월 20일/3월 27일 총 5일
발견되는 두루미가 있으면 카드에 발견장소명을 기록하고 마리수 기록
모두 조사가 끝나면 연변대학측에서 주민들의 카드수거를 위해 현장 방문
※ 이때 연변대학 학생들의 카드수거시 주민들 인터뷰(두루미, 사업내용, 사업에 대한 느낀 점
등등)
연변대학에서 수거된 카드를 환경연합으로 송부
환경연합에서 종합적인 보고서 제작(국영문) 후 각 후원기관에 제출
※ Global GreenGrants Fund에 5-10페이지의 영문보고서 제출 요
12. 교육자료 :
환경연합 제작 : 두루미교육자료, 두루미조사기록 카드, 두루미실사사진 3장,
포스터
두만강환경보전 인식증진 한국위원회 제작 : 두만강보호 인식증진포스터, 두만강 보호 성
인용교재, 두만강 어린이용 교재,
유엔제작 : 두만강 환경보호 포스터
국제두루미재단 제작 : 두루미 교육용 포스터, 엽서
13. 역할분담
대표단장 : 최진하 서천환경연합 전 사무국장
실무총괄 : 김춘이팀장 (이혜경, 김경원, 장지영)
현지안내총괄 : 이광교수, 주위홍씨
교육진행 : 이광교수/김졍원 (사회 : 주위홍)
자료챙기기 : 이혜경국장
비용정산 : 장지영팀장
영상기록 : 복진호(접경지역 5km 이내 안됨)
사진촬영 : 박종학(접경지역 5km 이내 안됨)
기자재 담당 :연변대학 전병무

– 연변/경신/훈춘 지역 숙박장소(민박선호) 예약 – 이광교수
– 장춘지역 숙박(10월 29일) – 이광교수 /주위홍씨
– 현지주민조직 – 이광교수(사전답사를 통해)
– 현지차량조정 – 이광교수
– 자료집 준비 – 환경연합
– 교육 – 이광교수/김경원
– 영상물기록 – 복진오
– 중국소년보와의 미팅 – 김춘이
– 장춘지역 SGP 담당자연락 – 김춘이

14. 준비물품
환경연합
두루미교육자료 총 150부
두루미조사기록 카드 총 300부
두만강보호 인식증진포스터 총 68부
두만강보호 성인용교재 총 150부
두만강어린이용 교재 총 150부
환경연합 국문브로셔 총 50부
유엔제작 두만강보호 포스터 총 3부
국제두루미재단의 교육용 포스터 총 7장
국제두루미재단 엽서 총 60장
두루미실사(3종류) 총 3장
사업포스터 총 1개
환경연합용작은가방 총 12개
카메라/필름 /비디오 구입필요
포스터넣는 통 총 5개소요됨.
주민임금지급시 사인할 UN제출용 환경연합 영수증 및 봉투 총 50부
(여유분 30부-중국 이광교수용)
각종 문구물품(풀/전지/테이프/노끈/주민지급용볼펜/참가자기록노트/매직펜/네임펜 등)
연변대학 준비물품 OHP / 파워포인트 / 현지지도
참가자 준비물품 (추위를 견딜수 있는 용품)
두꺼운 방풍/방한복/장갑/외부용신발/모자/기록용 노트 등
15. 숙박계획 –
10월 21일 연변숙박
10월 22일 연변숙박 또는 훈춘숙박
10월 23일 훈춘 숙박 또는 경신숙박
10월 24/25/26/27일 경신지역숙박
10월 28일 경신에서 연변으로 이동/연변숙박
10월 29일 장춘숙박
10월 30일 귀국
17. 참가자 관련 연락처
환경연합팀
중앙환경연합
서울시 종로구 누하동 251번지 110-806 82-2-735-7000(Tel) / 82-2-730-1240(Fax)
김춘이 (019-477-4325) kimchy@kfem.or.kr
장지영 (018-730-7775) jangjy@kfem.or.kr
박종학(011-713-5286) parkjh@kfem.or.kr
서천환경연합
충남 서천군 장합읍 신창리 188-9 325-900 82-41-956-3901(fax 3903)
최진하국장(011-652-3901) jhchoi@kfem.or.kr
인천환경연합
인천시 남구 주안8동 1530-8 19통 3반 402-208
전화번호 82-32-426-2767 (팩스 2768)
이혜경(011-251-2760) inchon@kfem.or.kr
습지보전연대
김경원(019-369-4160) wetlandkorea@hotmail.com
연변대학팀
이광교수 qwquan@ybu.edu.cn
사무실 86-433-273-2300
집 86-433-256-1091
핸드폰 86-139433-77208
전경무 86-433-2822260
133000 中國吉林省延吉市 人民路107號
中國銀行 延邊朝鮮族自治州分行
朴深哲(piao shen zhe)
계좌번호: 222401680406031—(주민등록증 번호)
전화번호: 86-433-291-1097
서울대학팀
난잉교수 011-708-6158(댁 521-6158) nanying@snu.ac.kr
주위홍 017-724-1329 weihong9@snu.ac.kr
영상물
복진오(016-450-3717) ssangigy@hanmail.net
중국조선족소년보사
중국 길림성 연길시 신화가 2호 우편번호 133000)
최청길 주임 사무실 86-433-251-8894 팩스(86-433-252-6078) 집 86-433-283-1298
한석윤 사장 86-433-251-8892

18. 재정계획
총 수입 11,412 USD (13,694,400원)
UNDP 지원액 5,000 USD
Global GreenGrants Fund 6,412 USD
총 지출 10,470,000원
총 잔액 3,224,400원
※ 조사회수는 당초 2회차(2001년 10월-11월, 2002년 2-3월)에서 1차로 변경된 상태에서의 예산
지출계획임.
※ 참가자 개인비용 총 1,000,000원 (항공료+숙식비+현지교통비)
※ 분담표 (비자/공항세/제외)
이름 지원액수 개인분담액
김춘이 45만원지원 25만원
김정수 45만원지원 25만원
김경원 35만원지원 35만원
장지영 20만원지원 50만원
이혜경 20만원지원 50만원
복진호 35만원지원 35만원
총 6인(계산다시할 것) 2,350,000원 2,550,000원

최진하국장님 개인부담액 1,000,000원 전액 자부담

admin

admin

(x)국제연대 관련자료의 최신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