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와 유족 릴레이 976배
9월말까지 한달 사이 사망자 56명 늘어,특위 활동기한 연장 촉구
가습기살균제피해자와 유족들이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가습기살균제 사고 진상규명과 피해구제 및 재발방지 대책마련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특위)’ 활동 기한 연장을 촉구하며 릴레이 976배를 진행했습니다. 지난 30일 특위 연장을 요구하는 920배에 이어 오늘이 두 번째입니다.
‘920, 976’ 이 숫자들은 가슴 아프게도 현재까지 신고된 가습기 살균제 희생자의 수입니다.
8월 말까지 정부에 신고된 가습기살균제 희생자는 920명(9월24일 사망한 고 김연숙 씨까지 포함) 입니다. 한 달이 지난 9월 말까지 희생자는 56명이 늘어 976명에 달합니다. 희생자는 얼마 지나지 않아 천명이 넘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습기살균제는 여야 정쟁대상이 아닙니다. 국회가 파행되고 있지만 희생자가 천명에 이르는 참사는 특위 연장만이 진상규명, 피해대책, 재발방지를 마련할 수 있습니다.
가습기 살균제 특위의 활동 기한은 4일까지입니다. 그러나 새누리당의 국정감사 보이콧으로 지난달 28일 특위 전체회의에서 특위 활동 기한 연장에 대한 합의 및 의결이 불발되었습니다.
가습기 피해자들의 피해구제와 재발 방지 대책 등 진짜 해야 할 일은 아직 시작도 못했습니다.
다시 한번 새누리당에 요구합니다. 가습기살균제는 여야 정쟁대상이 아닙니다.
‘가습기살균제 사고 진상규명과 피해구제 및 재발방지 대책마련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특위)’ 활동기한을 연장하여 아직 처리하지 못한 일들을 진행해야 합니다. 희생자가 천명에 이르는 대참사를 해결하기 위한 가습기특위 연장만이 진상규명, 피해대책,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