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성대는 복원할 수 있지만 원전 재앙은 돌이킬수 없다!
전기가 남아돈다, 지진위험 월성원전 폐쇄하라!
후쿠시마와 같은 원전 재앙은 돌이킬 수 없다는 절박한 마음으로 경주의 개인과 단체가 급히 ‘탈핵경주시민공동행동(준)’을 결성하고 공동 행동에 나섰다.
탈핵경주시민공동행동(준)은 9월 21일 경주시청 브리핑룸에서 ‘지진위험 월성원전 폐쇄 행동 기자회견’을 열고 “첨성대는 복원할 수 있지만 원전 재앙은 돌이킬수 없다!전기가 남아돈다, 지진위험 월성원전 폐쇄하라!”고 촉구했다.
12일 저녁의 규모 5.1, 5.8의 거대 지진 발생 이후 지진은 차츰 사그라든다고 했던 정부의 발표와 다르게 19일 또다시 규모 4.5의 큰 지진이 경주를 흔들었다. 급기야 친정부 지질 전문가도 뉴스에 출연하여 규모 6.0 이상의 지진이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지경에 이르게 됐다. 지금 많은 시민이 직접 경험한 지진의 공포로 일신의 안위를 걱정하고 지진피해 주민은 복구에 여념이 없지만 사실 경주시민이 직면한 가장 큰 위험은 원전 사고 재앙이다. 경주를 상징하는 첨성대는 무너지면 다시 복원할 수 있지만, 후쿠시마와 같은 원전 재앙은 돌이킬 수 없다. 이에 원전 사고 재앙을 우려하는 개인과 단체가 급히 ‘탈핵경주시민공동행동(준)’을 결성하고 공동 행동을 결의하게 됐다.
경주 시민은 그동안 정부와 한수원의 ‘원전 안전’ 약속만 믿으면 되는 줄 알았다. 머리를 갸우뚱하면서도 전문가들이 텔레비전에 나와서 하는 이야기니 그러려니 하며 받아들였다. 그러나 이번 대지진으로 모든 믿음이 허물어졌다. 경주와 월성원전 인근 지진 안전지대라는 정부와 한수원의 주장이 거짓으로 드러났고, 울진-포항-경주-양산-부산으로 이어지는 양산단층이 활성단층이 아니라는 주장도 이번 지진으로 거짓으로 판명 났다. 무엇보다 충격적인 사실은 정부와 한수원은 대지진 발생의 가능성을 이미 4년 전에 알고 있으면서 경주 시민들에게 철저하게 숨겨온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정부 출연 연구기관인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2012년 양산단층대가 활성단층이란 연구 결과를 내놨지만 정부와 한수원은 이러한 사실을 은폐한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국민 안전은 뒷전이고 오로지 원전 가동의 유리한 환경에만 힘을 쏟고 있는 정부와 한수원의 주장은 더는 믿을 수 없다.
정부와 한수원이 우리를 속여온 것이 또 하나 있다. 월성원전을 폐쇄하면 전기가 부족하다는 겁박이다. 우리나라의 발전설비는 총 100기가와트(GW)에 달한다. 가을철 최대전력수요는 70기가와트로 30기가와트의 여유가 있다. 월성원전 1.2.3.4호기와 신월성원전 1,2호기를 모두 합쳐도 4.7기가와트로 모두 폐쇄해도 전력공급에 아무런 지장이 없다. 이는 한여름 혹서기와 한겨울 혹한기에도 별반 다르지 않다.
거듭 강조하지만, 대지진은 사람의 힘으로 막을 수 없다. 다만 신속히 대응하고 온 사회가 힘을 모아 피해를 최소화할 뿐이다. 그러나 원전 사고 재앙은 충분히 미리 방지할 수 있다. 이제 현실로 닥친 대지진의 경고 앞에서 경주 시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서 월성원전은 폐쇄해야 한다. 노후원전인 월성원전은 즉각 폐쇄하고, 그 외 원전은 조기 폐쇄 계획을 마련하여 조속히 실행해야 한다.
이에 우리는 월성원전 폐쇄를 위해 시민들과 함께 긴급 행동에 들어갈 것이다. 월성원전 폐쇄를 요구하는 1인 시위를 곳곳에서 진행하고 가정용 현수막을 집집이 게시할 것이다. 차량에는 월성원전 폐쇄 스티커를 부착하는 캠페인을 펼칠 것이다. 9월 23일 오후 3시 긴급히 차량시위를 진행하고 지역의 제 단체와 협의하여 경주시민의 전체 뜻을 모아내는 월성원전 폐쇄 촉구대회를 조속한 시일에 개최할 예정이다. 앞으로 시민들과 함께 월성원전 폐쇄를 위해 굳건히 나갈 것이다.
– 노후원전 월성1호기 즉각 폐쇄하라!
– 모든 원전 가동을 중단하고 조기 폐쇄 계획 마련하라!
– 고준위핵폐기물 저장시설 증설 중단하고 월성원전 조기폐쇄 실시하라!
– 방폐장 운영 중단하고 지질 조사 등 전면 안전 점검 실시하라!
2016.9. 21.
탈핵경주시민공동행동(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