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 국제연대 사업감사 1. 사업개괄 97년도의 ‘안정된 국제연대’를 구축한다는 기조아래 대외적인 사업보다는 내부적인 안정에 충실 한 결과 많은 외국인 자원활동가의 참여, 많은외국단체의 방문등을 통해 환경련의 국제적 활동 은 98년들어 많은 사업결과를 낳았다. 환경련 4년간의 활동보고서가 영어로 제작되어 유엔에 송 부된 결과 국내환경단체로는 처음으로 유엔경제사회이사회 특정적협의자격지위를 획득하였는가 하면 아시아지역 환경단체간의 경험을 교류하고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아태환경단체 교류사업 (한국-몽고, 한국-인도네시아)이 진행되었다. 또한 ‘기후변화’라는 전지구적 환경문제에 대해 선 진개발도상국의 NGO로서 이 이슈를 전지구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국제심포지움을 개최하기도 하 였다. 환경련의 활동이후 그 어느해보다 환경련의 국제역량이 널리 확산되던 시기였으며 이제 우 리에게 남은 과제는 98년의 성과를 바탕으로 명실공히 국제환경단체로서 어떻게 지역적으로 전지 구적으로 공감할만한 활동을 해나가는지에 있다 하겠다. 2. 사업일지 98.1.18-1.25 : “환경교육과 실질 활동에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점 극복 및 그 둘간의 연결고 리 강화”에 관한 국제워크샵 참석(인도) 98.2.7-2.9 : “ASPBAE 개발교육포럼”에 관한 국제회의 참석(서울) 98.2.26-3.20 : “Peace Boat프로그램 참석 98.3 : 유엔경제사회이사회 최종문서제출 98.3 : 98년 봄호 뉴스레터 발간 98.3 : ASEM에 관한 한국 NGO 포럼 주최, ASEM에서의 NGO 역할에 관한 NGO 회 의 개최 98.6.22 : 환경련 유엔경제사회이사회 정식등록 98. 7.21-7.28 : 환경련 몽골방문 98. 8 : 98년 여름호 뉴스레터발간 98.8.17-8.28 : 인도네시아 열대림 피해조사사업 98.9.14-16 : 정식 유엔경제사회이사회 참가 단체로서 제51차 유엔인권에 관한 국제회의 참석 98.9.15 : 시에라클럽 캐롤린카박사 초청강연회 (“정부정책결정과정에 있어서의 NGO의 역할 중 수질개선”을 중심으로) 98.9.17-9.20 : “교토이후의 아태지역의 에너지와 환경”에 관한 국제회의 참가 98. 9.22-9.24 : “기후변화방지를 위한 개발도상국 NGO의 역할” 국제회의 개최 (The Roles and Strategies of Developing Countries in Preventing Climate Change) 98.9.24-9.30 : 인도네시아 환경단체 한국방문 98.10.9-10.16 : 몽골녹색당 한국방문 98.10.29 : “환경변화, 기후변화, 인도네시아산불”-인도네시아 열대림현지조사사업 발표회 98.10.30-11.1 : 아태지역내 천년을 위한 국제회의 참가(UNDP주관) 98.11.12 : 프랑스녹색당 앙드레부쉬만 초청강연회 98.12 : 아태교류사업보고서발간 3. 주요사업내용 및 평가 1)유엔경제사회이사회정식등록사업 A. 사업일지 97. 8 환경련 활동전반에 서류 제출 98. 3 환경련의 사회 전반의 이슈에 대한 관심과 향후 UN과의 활동 내용 보완후 송부 98. 5 환경련 1차 심사 – 통과 98. 6.22 환경련 2차 심사- 통과 정식 통보받음 98. 9 CONGO(ECOCOC 가입 NGO 협의체)에 가입/유엔공보국(DPI) 가입 98. 9.14-16 ECOSOC 소속 NGO 정기총회(뉴욕 유엔) 참석 B. 사업내용 : 영어로 제작하여 유엔송부 문서 A(창립선언문. 정관, 강령 한/영 자료) 문서 B(환경련 세금감면법규, 정보센터/연구소 법인설립허가증 한/영 자료) 문서 C(환경련/정보센터/시민환경연구소 96년 회계보고서) 문서 D(환경련 멤버단체 현황) 문서 E(환경련 출판물) 문서 F(UN 질문서에 대한 답변서 총 12개문항) C. 평가 내용을 작성하는 것보다 환경련에 흩어진 자료를 모으는 게 더 어려웠다. 환경련이 발행하는 공 식책자에 우리의 활동은 물론 재정, 수행한 프로젝트(수주기관, 단가, 시행날짜, 내용이 요약 된), 환경련이 발행한 책자(누가 몇권 배포대상 발간목적 등이 기술된) 등이 담겨있어야 한다. 매년 발행하는 연감에 이 모든 것이 기록되어야 하며 그래야만이 4년마다 활동보고서 작성시 (1999-2002년의 활동보고서를 2003년 전체 총회시 제출해야 함) 자료취합이 용이하고 그에 근거 하여 충실한 내용의 보고서가 작성될 수 있다. 유엔은 국제연대가 가장 활발한 국제기구로서 환 경련으로서는 전지구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공간하나를 확보한 셈이며 또한 그안에 서 다양한 참여를 통해 환경련을 홍보해 낼 수 있기도 하다. 우리의 참여여부에 따라 국제적인 시각을 더 많이 견지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유엔경제사회이사회 는 등록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며 등록이후의 활동이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활동이 미흡하다 고 판단되면 ECOSOC 지위를 잃을 수도 있다는 데서 우리는 등록이후의 활동의 중요성을 간과해서 는 안된다. D. 담당자 : 김춘이 참조1) 국내단체 ECOSOC 가입 현황 참조2) 협의자격 지위에 따른 권리와 의무 2)아태환경단체교류사업 공동주관 : 환경운동연합/LG 환경안전연구원 사업책임자 : 김춘이 환경련국제연대담당/강홍윤 LG 환경안전연구원책임연구원 가. 한국-몽골프로그램 A. 사업일지 98. 3 LG환경안전연구원측에 사업기안서 제출 98. 4 몽골녹색당측과 협의 98. 5 환경련 담당자선정 및 확인 98. 6 몽고녹색당측과 프로그램조정 98. 7.21-7.28 환경련 몽골방문 98.10.9-10.16 몽골녹색당 한국방문 B. 사업내용 ⓛ 환경련 몽골 방문 7.21(화) : 몽고도착 7.22(수)-7.26(일) : Ugii 호수/Khorgo와 Terkhiin Tsagaan Nuur 국립공원 방문/유목민집 방문 7.27 : 몽고환경시민단체와의 간담회 7.28 : 몽고 자연환경부장관과 간담회/출국 ② 몽골 녹색당 한국방문 10.9(금)-10.10(토) : 설악산 10.11(일) : 팔당상수원 방문 및 춘천환경련과의 만남의 시간 10.12(월) : 수도권쓰레기매립지/영종도신공항/인천환경련과 간담회 10.13(화) : LG 환경연구소 방문/신갈민속촌방문/과천환경련 10.14(수) : EBS 방문 및 환경부방문/시민의신문 인터뷰 10.15(목) : 시민단체방문(경실련, 참여연대0 10.16(금) : 출국 C. 평가 90년대 사회주의에서 자본주의사회로의 격변의 시기에 있던 몽골이 단지 경제성장만이 아닌 환경 보전을 목적으로 정당을 결성하여 무절제한 자연개발을 막고 환경적가치를 드높이는 몽고 녹색당 과 환경단체의 활동은 70년대식 무절제한 경험을 가진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많았다. 몽고민의 환경의식고취를 위해 환경련의 환경교육프로그램, 대정부정책활동, 한국의 국립공원관리형태, 쓰 레기처리 등에 많은 관심을 보였던 그들을 보면서 우리의 경험 하나하나가 그들에겐 너무도 소중 하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D. 담당자 환경련측 : 김광식대전환경련사무국장/김춘이환경련국제연대간사 몽골측 : Nyam 몽골녹색당 총재/Kanbaatar 몽골녹색당사무총장 Ulaanbaatar 21 P.O. Box 676 Mongolia (Tel : 976-1-360-562-363-505 Fax : 976-1-360-562 E-mail:pea@magicnet.mn) 나. 한국-인도네시아프로그램 A. 사업일지 98. 3 LG환경안전연구원측에 사업기안서 제출 98. 4 인도네시아 왈히(WALHI)측과 협의 98. 5 환경련 담당자선정 및 확인 98. 6 왈히측과 프로그램조정 98. 7.21-7.28 환경련 몽골방문 98.10.9-10.16 몽골녹색당 한국방문 B. 사업내용 9. 24(목) : 환경련 활동 슬라이드 보기, 각 부서소개/집회참가(국립공원관련-정부종합청사앞) 창덕궁(비원)관람/참여연대포럼 참가 9. 25(금) : 전국환경활동가워크셥 부분참가/NGO 간담회(장흥 수련원에서)/민주노총 방문 청년생태주의자 만남 9. 26(토) : LG 연구소 방문/영흥도화전건설반대를 위한 환경축제 참가(인천 인하대학교에서) 9. 27(일) : 천안 광덕산 생태기행 참가 9. 28(월) : KFEM 활동가 간담회 진행/지역조직방문(청주환경련) 9. 29(화) : 독립기념관 관람 9. 30(수) : 인도네시아귀국 C. 평가 인도네시아의 대표적 환경단체이자 358개의 사회운동단체인 WALHI와의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통 해 앞으로의 국제적 환경문제에 있어서 원활한 협력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여진다. 그리고 이제 새로운 전환기를 맞고 있는 인도네시아 환경운동의 진로를 모색하는데 도움되는 바 가 컸다고 자부한다. 지속적인 정보교환과 교류사업을 통해 인도네시아 환경단체와 더욱 발전적 인 관계구축을 모색해야 한다. 그리고 환경운동연합이 비단 국내뿐만 아니라 아·태평양 지역에 서도 환경운동에 있어 중대한 역할을 요구받고 있음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D. 담당자 환경련측 : 김정수 시민환경연구소책임연구원/정미향 청주환경련 총무부장 인도네시아측 : Mr. Loggena Ginting (WALHI)/Mr. Amin (LBH) Tel: 62-21794-1672 / Fax: 62-21794-2935 3)인도네시아 열대림 화재 현지조사사업 공동주관 : 환경련/프리드리히 에베르트재단 A. 사업일지 98. 2 사업안 프리드리히 에베르트재단제출 98. 3 인도네시아 왈히측과 교섭 98. 4 환경련 내 담당자 선정 98. 5 인도네시아 왈히측과 세부프로그램논의 98. 6-7월 자료수집 98. 8.17-8.28 인도네시아 열대림현지조사 B. 사업내용 8.17 인도네시아현지 민간단체와 간담회 8.20-8.21 수마트라지역의 현장조사(전통화전농법/공동체변화/탈산림역사 등) 8.22-8.25 칼리만탄지역의 현장조사 8.26 산불관계된 지역 민간단체와 워크숍 8.27-8.28 발리지역의 열대림 화재가 관광산업에 미친영향조사 C. 평가 설문지를 통해 주민의식의 조사를 할 수 있었으며 직접현지에서 열대림산불지역, 열대림산불피해 지역, 천연열대림지역, 대규모플랜테이션 지역 등의 4개지역의 비교조사를 통해 열대림산불로 인 한 생물, 지역공동체, 인접국가에 미친 영향/정부의 개발정책등을 충분히 조사할 수 있었다. 이 조사작업을 통해 인도네시아의 환경문제는 단지 인도네시아의 환경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인 접국에까지 그 영향을 줌으로써 결국 환경문제는 국경이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인도네 시아의 화재지역을 한국의 민간 환경단체가 조사함으로써 아시아지역환경단체간의 협력을 토대 로 지구환경문제에 대한 공동의 노력을 증진하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D. 담당자 환경련측 : 김정수 시민환경연구소책임연구원/정미향 청주환경련 총무부장 인도네시아측 : Mr. Loggena Ginting (WALHI)/Mr. Amin (LBH) 4) 뉴스레터발간사업 A. 사업일지 B. 사업내용 제작부수 : 500부 송부처 : 350부 배포 환경련(공동대표, 상집위원. 지역환경련, 연구소 연구위원, 정보센터 자료회원), 유엔 및 산하 기 관, 국내외 NGO, 재외한국주요공관, 주한외국주요공관, 정부기관 및 연구소 총 350부 배포 98년 봄호 : IMF를 만난 한국의 시민운동과제 98년 여름호 : 한국의 갯벌 C. 평가 : 국제연대 1인이 뉴스레터업무까지 감당하기엔 벅찬업무로 인원이 요구되는 작업이 다. 환경련의 활동상황이 유일하게 영어로 제작되어 배포되는 자료이니만큼 국제연대 담당 자만이 아닌 모두의 관심이 요구되는 작업이다. D. 담당자 : 김춘이 국제연대 간사 4. 기타사업 전지구적환경문제관련한 책자의 지역환경련 배포사업 UNDP 두만강개발관련 한국내 민간단체진영의 전문가 리스트확보작업 습지관련한 국제연대활동 국제연대관련 자료의 환경련 홈페이지 제공-유엔경제사회이사회제출문서, 각종번역자료 등 자원활동가관리-표 참조 외국단체로부터의 환경련 방문사업 주관-표 참조 ☞ 환경련참가 ’98 국제회의 1) 회의명 : Breaking Barriers and Strengthening Links betwee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ction(Asian-South Pacific Reg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Workshop) A. 주회:아태사회교육사무국(ASPBAE), the Centre for Environment Education(CEE) B. 장소: 인도 아메다배드(Ahmedabad, India) C. 기간:98년 1월 18일 – 1월 25일 D. 참가자 : 조현지 총무국 간사 E. 현지활동 : 환경련의 환경교육활동 및 환경련 전반적인 활동 소개 2) 회의명 : ASPBAE Development Education Forum A. 주회:아태사회교육사무국(ASPBAE), 한국사회교육협회(KAAE) B. 장소: 서울 C. 기간: 98년 1월 18일 – 1월 25일 D. 참가자 : 김춘이 국제연대 간사, 조현지 총무국 간사 E. 현지활동 : IMF 체제하에서의 환경운동의 방향에 대한 토론참가 ASPBAE : Asia South Pacific Bureau of Adult Education), KAAE : Korean Association of Adult Education ) 3)회의명 : The Fittieth Anniversary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From Words to Deeds(51st Annual DPI/NGO Conference) A. 주최 :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Public Information(유엔공보국) B. 장소 : 뉴욕유엔 C 기간 : 9월 14-16일 D. 참가자 : 이시재정책위원장, 문유미부장 4) 회의명 : “After Kyoto: Energy and the Environment in the Asia Pacific Region” A.주회:The Maureen and Mike Mansfield Center, Montana University B. 장소: 몬타나 대학 C. 기간: 98년 9월 17-20일 D. 참가자 : 문유미부장 E. 현지활동 : 회의참가 5) 회의명 : UNDP Regional Millennium meeting for Asia and the Pacific A.주회: UNDP B. 장소: 서울 C. 기간: 98.10.30-11.1 D. 참가자 : 곽일천 교수 E. 현지활동 : 환경회의참가 6) 회의명 : The Fourth Conference on Climate Change A. 주회: UNFCCC(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B. 장소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C. 기간 : 98.11.2-11.13 D. 참가자 : 서형원정책팀장 ☞ 환경련주최국제회의(정책팀 주요사업에 기술) 1) 회의명 : The Roles and Strategies of Developing Countries in Preventing Climate Change A. 주회: 환경련 국제협력기관: 프리드리히에베르트재단 후원 : 녹색생명운동. 삼성지구환경연구소 B. 장소: 세종문화회관, 서울대호암관 C. 기간: 98. 9.22-9.24 D. 참가자 : 인도, 독일, 필리핀, 한국, 말레이시아 E. 내용 : 제4차 기후변화당사국총회를 앞두고 개발도상국 NGO들의 입장발표 ☞ 환경련 국제연대 자원활동가 현황 ☞ 환경련 외국인 내방객 현황(총33인) 5. 총괄평가 올해 국제연대사업은 많은 성과를 이룩해 낸 해이니만큼 이를 토대로 2천년대 준비도 함께 진행 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2천년대의 좀 더 역동적인 전지구적 환경운동을 위해서는 환경련내의 국 제연대 인력도 강화되어야 하고 당연히 국제연대의 위상도 변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항상 어느 한 팀에 소속해서 존재하는 국제연대가 아닌 독립적인 팀이나 부의 구조로서의 국제연대로 정착 이 되어야 하고 그런 상황에서만이 이를테면 특수하다면 특수할 수 있는 국제연대의 경험이 후배 에게 자연스럽게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우리 스스로 국제연대를 항상 한 사람만이 해도 되는 사업 그래서 다른 팀에 항상 속해야 하는 사업의 규모쯤으로 인식해왔었기 때문에 후배가 선배 의 국제연대 경험을 자연스럽게 체득할 수 있는 과정이 생략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새로 운 천년을 맞는 시기이니만큼 그 새 천년을 준비하는 프로그램속에 환경련 내 국제연대의 인식 과 위상도 함께 제고되어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