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지역·기관 활동 소식

부천 미군부대, “상상할 수 있는 모든 화학물질 매립”

http://blog.naver.com/ecocinema/120130641813

퇴역 미군 증언, 환경연합 ‘전국 미군 부대 전수조사 해야’

 

경기도 부천 미군기지에서 대량의 유해물질을 매립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경북 왜관 고엽제 불법 매립 사건에 이어 나온 증언이라 미군 부대에 의한 환경 재앙 비난이 더욱 거셀 질 것으로 보인다.

  

1960년 대 초반 부천시 오정동 캠프 머서에서 근무한 스테판 스탈라드 씨는 당시 캠프 머서에 있는 미군 화학물질저장소(USACDK)를 경북 왜관 캠프 캐롤로 이전하면서, 캠프 머스 부대 내에 구덩이를 파고 “고무옷, 가스마스크와 함께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화학물질 수백 갤런을 묻었다”고 증언했다. 또한 “1964년부터 1978~80년까지 캠프 머서는 그대로였다” 면서 지속적인 화학물질 매립을 지적했다.

 

이와 같은 이야기는 재미 언론인의 ‘시크릿 오브 코리아’ 사이트를 통해 국내 언론에 보도됐다. 국내 언론은 스탈라드 씨가 구체적인 화학물질 매립지를 적고 있어 파장이 있을 것으로 보도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이날 논평을 내고 “퇴역 미군의 증언에 의해 드러난 경북 왜관 캠프 캐롤의 고엽제 불법 매립은 사실로 확인됐다”면서 “이번 경우도 부천 미군기지에서 근무하다 퇴역한 미군의 증언이라는 점에서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화학물질’ 불법 매립은 엄청난 환경재앙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충격”이라고 말했다. 군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은 주로 ‘인마살상용’이란 점에서 1940년대 미국에서 발생한 ‘러브캐널’ 환경재앙보다 더욱 심각할 수 있다는 것이 환경운동연합의 지적이다.

 

환경운동연합은 “한국과 미국정부가 지체 없이 진상 조사를 벌여야 한다”면서 조사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민관공동조사단 구성할 것을 지적했다. 아울러 주한 미군의 환경오염 사건이 어제, 오늘일이 아니라는 점에서 전국 미군 기지에 대한 환경오염 특별 점검 및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 러브캐널 사건

– 미국 나이아가라 폭포 인근에서 1800년대 후반 인공 운하를 건설하다 중단된 곳을 미국의 후커케미컬사가 1940년~ 1952년까지 유독성 화학물질 2만 여 톤을 불법 매립해 주변 학교 어린이와 주민의 환경재앙(유산율 급증, 선천성 기형아, 만성천식, 신장 및 간질환, 피부질환 등)이 발생한 사건.

– 미국연방환경청(EPA)는 화학물질이 처음 불법 매립 된 후 28년이 지난 1978년 이 지역을 환경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주민 이주 및 주택과 학교를 철거. 유해물질의 증발이나 침출을 방지하고 강우를 차단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커버를 씌운 위에 0.5m 가량 복토 및 사람과 동물의 접근 차단 시설 설치

– 이 사건을 계기로 미 연방정부는 1980년 슈퍼펀드 법을 제정하여 5년 동안 러브 운하와 같은 유해지역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신속히 처리하기 위해 1백60억 달러 상당의 연방기금 조성 (2만7백66개 유해지역 발견 및 5백7개 지역에서 제거작업을 실시)

admin

admin

(X) 지역·기관 활동 소식의 최신글

댓글 남기기